Herbalzym

Recent Posts

Categories

Archives

특발성 호산구과다증후군에 동반된 다발성신경병증, 버거씨병 등 복합증상 사례

11월 9, 2014, Featured in 버거씨병(Buerger's disease), 0 Comments

버거씨병(Buerger’s disease) 손끝과 발끝 등 말초혈관을 침범하는 염증으로 인해 이 부위에 혈전이 만들어지고 혈관이 막히면서 혈액순환 장애와 혈관폐쇄, 신경손상이 초래되는 염증성 혈관질환입니다. 그래서 버거씨병을 ‘폐쇄성혈전혈관염’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혈액순환 장애로 인해 극심한 통증과 함께 사지 말단이 궤양과 괴사상태에 빠지거나, 심할 경우 절단까지 초래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다발성 신경병증(Polyneuropathy)은 뇌와 척수에서 뻗어 나오는 말초신경 자체에 장애가 생기는 질환으로 손이나 발이 시리거나 화끈거리고 통증이 나타나며 심해지면 손과 발의 감각저하, 운동신경의 장애를 초래합니다.

말초 혈액에서 백혈구의 일종인 호산구의 수가 과다 증가하는 특발성 호산구과다증후군(Hypereosinophilic syndrome)에 동반된 복합증상으로 다발성신경병증, 폐색전증, 담석염증, 간농양에 이어서 버거씨병으로 고통을 받다가 2014 10월 말부터 자연치료를 시작하신 39 남성 환자분의 사례입니다. 환자분께서 최근 다음과 같이 문의를 하셨습니다.

2014/11/5

선생님 안녕하세요.
치료 시작한지 이제 2 넘어가네요.

지난주 통화한대로 큰 변화는 아직 느끼기 어렵지만 더 나빠지지 않고 있어 그나마 다행입니다.

다름이 아니오라 처음에 간단히 말씀드렸던 제 병력을 좀더 소상히 말씀드리고 선생님 도움을 받았으면 합니다.

현재 가장 큰 걱정은 버거씨 질환인데요

1. 손가락 괴사된 상처에 딱지가 생긴 뒤로 더 커지진 않으나 호전이 없고 최근 진물과 고름이 나와서 혹시 안쪽에서 더 괴사부위가 넓어지지 않을까.. 정말 이러다 손가락 절단을 하면 어쩌나.. 가장 심한 손가락은 거의 끝 한마디 전체 괴사되었고 그외 2개 손가락 딱지 있고 나머지 손가락도 혈액순환이 안되서 혈색과 피부 손톱상태 등 전반적으로 안좋습니다.

2. 기존의 다발성 신경병증이 상당히 좋아졌으나 올해 5월부터 시작된 버거씨 증상 이후 저림증상과 통증이 심해져. 수면장애와 보행이 아주 불편합니다. 잠을 잘못자고 운동부족이 겹쳐 식욕부진 체중감소.. 의욕상실 우울감.. 극심한 통증은 여름보다 나아졌는데 더 이상 호전이 없어 정체된듯하고 증상이 더 심한 왼발은 색깔도 붉어지고 혈색과 피부상태가 좋지 못합니다.

아래는 제 병력인데요.

말씀해주신대로 진통제 이외 양방 한방약 중단하고 보내주신 처방만 복용중인데 이대로 몇 개월이 지나면 나을수 있는건지.. 너무 걱정되고 두렵습니다. 산초기름이나 뱀독 증 민간요법을 권유받고 있는데 선생님 처방과 병행햐보면 어떨까 싶기도 하구요.

그럼 바쁘시더라도 제 병력도 살펴보시고 향후 어쩌면 좋을지 도움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2012. 08 우측 하지 가려움, 통증, 부종. 우측 서혜부 림프 부종, 중앙대 입원 검사 서울대로 옮김.
복부통증 폐색전증 동반. 1개월만에 특발성호산구과다증후군 확진. 고용량 스테로이드 항생제 와파린 복용.

2012.11 좌측 하지 통증 및 부종,  재입원 검사결과 호산구 재급증, 하지통증 및 저림 관련 상세불명의 다발신경병증. 항암제(하이드록신?)를 스테로이드 보조제로 병행복용(약 6개월), 신경병증 관련 처방(뉴론틴 진통제 등)

2013. 02. 폐색전 검사 CT 촬영결과 증상 호전으로 와파린 복약중단. 담낭 이상 소견이 있어 추후 검사예정

2013. 04. 통증 동반되어 담낭재검 결과 절제 수술 권유. 염증 및 multi stone. 슬러지, 통증.

2013. 05. 극심한 복부통증으로 응급실행. 검사결과 간농양 추가발견. 호산구 증가로 스테로이드 용량증가. *담낭절제술 시행 및 간농양배출 시술

2013. 10 좌측 하지 동맥 폐색, 봄부터 하지파행성 증상 호소했으나 신경병증 일환으로 고려. 왼쪽발이 차갑고 혈색이 창백해졌음. 좌측 무릎 아래 통증 극심하여 입원. 입원 후 통증 심하던 왼발 엄지발가락 괴사 시작. 좌측하지 혈관조영술 시행. *스텐트 삽입. 혈전용해제 및 혈관확장제. 호산구 재급증으로 스테로이드 이외 추가 보조 주사제 사용 (인터페론 3~4개월), 거머리 시술 1~2 개월 병행 후 ‘13년 12월부터 증상 호전. 괴사 부분 복원. 파행성 증상 완화. 등산 등 가능 수준. 한의원에서 양손 손가락 레이노이드 증상 소견. 서울대에서는 혈관확장제 등 복용 중이므로 추후 경과관찰.

2014. 03~04. 현미채식 중심 대체요법 양방병원 치료중 스테로이드 및 모든 양방 처방약 점진적 중단. 나토키나제 (혈전용해 혈액순환 영양제) 등 보조제로 복용(’13. 12~)

2014. 05. 양손가락 통증 시작. 혈관확장제 일부 재복용.
손가락 상처 부위 중심으로 통증 상처부위 확대.
손가락 혈색 급격히 나빠짐.

2014. 06. 거머리요법 시술 및 혈액순환 관련 탕약 등 처방. 상처 부위 괴사 진행. 통증 확대

2014. 07. 정기적 거머리요법 이외 자석요법 2주 정도 병행했으나 괴사부위 및 통증 확대. 수면장애 식욕부진 및 체중감소. 양쪽 무릎 아래로 저림증상 및 통증 시작. 동네 응급실 및 내과치료 약 1주일 시행. 증상 악화로 고압산소치료 결정.

2014. 08~09. 2개월간 고압산소 치료후 혈색 및 온기 호전. 괴사 부위 건조해지면서 손가락 통증 경감. 하지의 저리고 무감각한 증상 및 왼발 통증은 지속됨. (혈관확장제 비타민제 진통제 항생제 복용 신경병증약 복용) 퇴원 후 현재 진통제 및 수면제만 복용중. 양쪽하지 무릎아래 저린감 및 특히 좌측 하지 통증으로 수면 장애 지속 및 보행 불편

혈관염은 혈관벽의 염증을 전형적인 특징으로하는 여러 질환을 말하며, 병인. 병태적 특징에 따라 구분을 하지만 복합적인 양상을 띄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로 흡연자에게서 더 자주 나타나는 혈관염인 버거씨병은 말초혈관의 염증성 질환으로 사지말단 부위 혈관에 염증이 생기고, 이로 인해 생성된 혈전이 혈관을 막아 극심한 통증을 동반한 궤양과 괴사가 나타납니다. 버거씨병의 원인은 아직까지 정확히 밝혀지지 않은 상태입니다. 흡연이 병의 발생 및 악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지만 흡연자의 대다수에서 버거씨병이 발병하지 않는 다는 점을 감안하면, 그 보다는 면역학적 요인이 더 클것으로 짐작됩니다. 즉 버거씨병은 흡연을 비롯해 감염이나 외부환경의 자극으로 인한 면역학적 요인, 특히 흡연 등으로 인해 여러 생리적인 기능이 종합적으로 조절되는 중추인 뇌의 시상하부가 자극되면서 면역관련 호르몬의 분비가 바뀌는 등 신경-내분비-면역계가 상호작용하면서 염증반응이 유발되고 혈관내피세포의 기능과 혈액응고체계에 까지 이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짐작됩니다.

39세의 남성 환자분은 2012 8월에 특발성 호산구과다증후군 증상으로 시작해서 동반된 폐색전증, 다발성신경병증의 합병증상이 나타나고, 간농양, 담석염증, 좌측하지 동맥폐색 및 최근에는 버거씨병 증상까지 나타났습니다. 물론 이 환자분의 케이스는 흡연과는 다른 요인으로 면역계에 이상이 생겨 말초 혈액의 호산구가 증가되고 호산구로 인해 분비되는 염증관련 물질들이 폐, 신경, , 담낭 등 여러 장기를 침투하면서 비정상적인 염증반응을 일으키고, 이어서 동반된 증상으로 버거씨병의 증상인 혈관염과 혈전형성, 혈관폐쇄, 조직의 괴사, 극심한 통증과 신경손상 등 일련의 임상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짐작됩니다. 따라서 이 경우는 흡연으로 인한 버거씨병이 아니므로 최초에 특발성 호산구과다증후군이 나타난 원인을 찾아내어 치료를 하는 것이 자연치료의 순서일 것입니다.

세포 내에 염증성 물질을 싸고 있는 과립이 있어 과립백혈구라고 불리는 호산구(eosinophils)는 말초혈액의 백혈구 중에서 소량( 2% 정도)을 차지하며, 기생충이나 감염, 알러지, 자가면역질환, 혈관질환 같은 다양한 자극에 반응하여 혈관으로부터 염증부위로 이동하게 되며 염증반응의 개시(항원제시 세포역할)와 증폭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특히 만성적 중증염증을 동반하는 난치성 질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발성 호산구과다증후군은 말초 혈액이나 조직에서 6개월 이상 지속적인 호산구의 증가가 나타나고, 심장을 비롯해 혈액, , , 신경, 혈관, 피부 등 여러 장기들을 침범해 기능 장애를 일으키는 것이 특징으로 그 원인이 불명확합니다. 이 환자분의 경우도 역시 원인을 알 수 없는 호산구의 생성을 자극하는 면역계의 이상 작용으로 혈액에서 호산구가 증가되고 염증조직의 혈관부위로 결집시켜 세포독성과 염증반응을 유발한 것으로 보입니다. 염증반응이 증폭되는 경우, 호산구는 염증 매개물질들의 합성을 유도하며, 다른 호산구와 백혈구들을 결집시키고 활성화시킵니다. 만일 호산구가 부적절하게 활성화, 탈과립화 될 경우 심각한 독성과 해를 끼치게 됩니다.

이러한 비정상적인 면역작용을 유발하는 근본 원인은 바이러스성, 세균성이나 진균성 감염일 수도 있고, 또한 음식이나 화학물질(독소), 심리적 스트레스, 생활환경 같은 외인성 환경인자나 장기능(장관면역)이상, 호르몬분비의 변화 등 여러 복합적인 요인과 개인적 특성인 감수성으로 인해 스트레스 관련 열충격단백( heat-shock protein: HSP)이 증가하고,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HPA axis)이 자극되면서 면역관련 호르몬의 분비가 바뀌는 등 신경-내분비-면역계가 상호작용하면서 나타나는 이상 면역반응의 일환이라고도 짐작할 수 있으며, 특히 환경인자의 영향이 클 수 있습니다. 이것은 흡연자에서 더 자주 발병하는 버거씨병을 보더라도 담배연기가 유발하는 알레르기성 감작과 니코틴으로 인한 사이토카인(cytokine) 분비양상의 변화 및 말초혈관 수축, 그리고 혈관세포의 염증과 파괴로 이어진다는 점도 환경인자의 중요성을 시사합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아직까지 이러한 희귀 난치성 증상의 원인을 정확히 알지 못하고, 치료제나 마땅한 표준 치료법은 없습니다. 병원 치료에서는 염증 억제를 위해 스테로이드제를 사용하고 호산구를 억제하기 위해 인터페론-알파 같은 부작용이 큰 성분을 보조적으로 사용하기도 하지만 근본적인 치료법은 아니고 증상을 억제하는 대증요법일 뿐입니다. 더구나 비정상적인 면역작용을 조절하는 것은 대단히 복잡한 내용이라 한 두가지 성분으로 이루어지기 어렵고, 그렇다고 민간요법에서 권하는 뱀독 같은 불확실한 성분들을 임의로 사용해서는 절대로 안될 것입니다. 면역기능의 이상과 염증을 초래하는 가장 큰 원인의 하나는 면역반응을 매개하는 사이토카인(cytokine)같은 면역중개물질의 발현의 불균형, 즉 염증성 중개물질의 증가와 항염증성 중개물질의 감소가 초래된 때문일 것입니다. 따라서 이 환자분의 자연치료에서 가장 중점을 두는 것은 면역억제가 아니라 염증부위 손상조직에서 합성되는 HSP 항원에 대한 면역관용(tolerance)과 면역조절을 유도하여 염증을 억제하는 면역조절요법과 더불어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의 기능을 정상화시켜 신경-내분비-면역계가 정상화 되도록 하는 것이며, 장관면역기능의 정상화 그리고 혈행개선작용, 항혈소판작용, 항혈전작용, 혈관확장작용, 항산화작용, 항염증작용을 하는 천연성분들을 함께 사용해야만 할 것입니다.

현재 자연치료에 사용하는 성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헤파짐 (면역조절, 혈행개선, 항산화작용, 장기능개선: 자연산 버섯추출물, 베리추출물, 허브추출물, 식물성효소, 씨앗추출물, 섬유소, 유산균 복합제)

엑짐(면역조절작용: 녹차추출물, 식물성 효소, 섬유소 복합제)

DSLP(뇌신경조절작용, 면역조절작용: 천연아미노산, 펩티드 복합제)

시노페인(국소용 신경병증 통증 진통제)

오메가3(고단위DHA,EPA)

허발짐C3 식초(면역조절, 항염증 작용, 순환기능개선, 체질개선)

사진: 허발짐 C3 식초

또한 3-4주 경과를 보아 추가적으로 CTR(혈관확장기능 및 면역기능 조절 작용: 천연 아미노산, 펩티드, 식물성 효소 복합제)을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만일 구강내 감염이나 잇몸의 염증이 있다면 이를 신속히 치료하고 오랄짐과 오랄짐S를 사용해서 구강의 건강상태를 회복, 유지시키는 것이 치료에 중요합니다. 특히 잇몸질환은 말초 혈관염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칩니다. 비흡연자에 비해 흡연자에게서 치주염이나 잇몸질환, 그리고 상기도에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감염이 많고, 구강내 면역체계변화, 구강혈관손상, 구강조직내 저산소증이 더 많은 것도 버거씨병 병인과 무관하지 않다고 보아야 할 것입니다.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