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balzym

Recent Posts

Categories

Archives

암세포를 죽이는 THC와 암 환자의 오심, 구토, 통증

THC (tetrahydrocannabinol)는 대마초에 있는 성분입니다. 현재 전세계에서 THC가 각종 암에 미치는 치료효과와 대마초 성분이 신체 대사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수 많은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 한국과 미국을 비롯한 대부분 국가에서는 THC를 환각제로 인식을 해서 법으로 강력히 금하고 있지만, 유럽과 캐나다 등에서는 저명한 의사들이 THC를 암치료약물로 사용하는 임상연구결과를 함께 모여 발표하고, 국제적인 단체를 결성해서 활발한 정보교환과 치료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연구는 THC가 뇌종양(뇌암)세포를 죽이는 대사작용의 효과입니다. THC 대사는 유방암, 피부암, 백혈병 등의 암세포도 죽이지만, 뇌종양(뇌암)세포를 죽이는 것이 가장 큰 효과입니다. 인체에는 암세포를 파괴하는 독성의 항암 화학약물의 성분이 혈액을 통해 뇌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작용이 있기 때문입니다. THC는 뇌로 쉽게 들어갑니다.

THC는 세포괴사를 촉진하는 지질인 세라마이드(ceramide)를 활성화시켜서 암세포의 죽음을 유도하는 다양한 수용체를 활성화시킵니다. 아마도 환각작용을 일으키는 부작용 때문에 현실적으로 THC를 너무 많이 투여할 수가 없어서 암세포들을 죽일 수 없다고 보아야 할 것입니다. 대마초 성분의 문제는 THC 대사가 뇌세포에서 한 가지 이상의 세포막 수용체를 활성화시킨다는 것입니다. 즉, 어떤 수용체가 암세포를 죽이는 경로를 활성화시키는 동안에, 다른 수용체는 마리화나성분에 의해 유도된 환각반응을 활성화 시키므로 환각작용을 일으키는 문제가 생깁니다. 이 때문에 한국과 미국에서는 THC 사용을 법으로 금하며, 아주 소량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중죄로 다스립니다.

그러나 현재 마땅한 병원치료법이 없는 악성 뇌종양(뇌암) 환자는 생명밖에 더 잃을 것이 없으므로 만일 방사선치료로 인해 뇌가 튀김같이 변하길 원치 않는다면 치료목적의 THC 사용을 허용하는 캐나다나 멕시코, 암스테르담(네델란드)에서의 치료를 신중히 고려해 볼 수 도 있지만, 물론 현실적으로 비용이 대단히 많이 든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어느 경우든 THC가 어떤 놀라운 활성 성분의 효과가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첫째, THC는 뇌로 들어가며, 이것은 명백히 알려진 얘기입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것은 THC가 암세포(gliomas: 신경교종)만 선별적으로 죽이고, 정상세포는 산화손상으로부터 보호한다는 점입니다.  THC는 뇌에서 세라마이드(세포괴사를 촉진하는 지질), 또는 세포사멸경로(cell death pathways)를 활성화시키며, 이것은 염증반응 없이 암세포를 죽게합니다. 또한 THC는 암세포의 생존과 증식, 항사멸(anti-apoptosis)에 마스터스위치 역할을 하는 AKT 의 활성을 억제합니다.

혈관내피세포증식인자(VEGF)는 모든 암 종양 속에 혈관을 끌여들여 새로운 혈관을 만들고(angiogenesis), 증식하는데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제넨택(Genentech)이란 회사에서 VEGF수용체를 차단하는 단일클론항체(monoclonal antibody)인 아바스틴(Avastin)을 개발했지만 엄청나게 가격이 비쌉니다. 여기서 유념해야 할 것은 VEGF수용체를 차단하는 약물 아바스틴(Avastin)이 뇌의 병변에는 아무 소용이 없다는 것입니다. 단일클론항체는 뇌혈관의 차단작용(blood brain barrier: BBB)이 심각하게 손상되지 않는 한은 뇌로 들어가지 않습니다. THC는 뇌에서 VEGF경로를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시키며, 가격도 싸고 다루기도 좋습니다. 뇌종양(뇌암) 치료에는 멜라토닌(melatonin)과 플라보노이드의 일종인 루테올린(luteolin)을 병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Cannabinoids as potential new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gliomas.

Hypothesis: cannabinoid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gliomas?

Novel anti-angiogenic therapies for malignant gliomas.

Inhibition of tumor angiogenesis by cannabinoids.

캐나다에는 나빌로네(Nabilone: 상표명 Cesamet)라는 경구용 합성 THC(Delta-9-THC)를 주로 항암치료 후 오심이나 구토증세가 심할 때 사용하지만, 다른 약물(진토제)이 오심과 구토에 작용을 하지 못할 때만 의사의 처방으로 사용합니다. 처방은 반복사용할 수 없고 매번 구입시마다 받아야 합니다. 나빌로네는 경구복용 캡슐입니다. 물론 나빌로네 사용시에는 이에 따르는 득과 실이 비교되어야 하며, 이 결정은 환자와 의사가 해야 합니다. 사용에 다음 사항이 고려됩니다.

* 알레르기, 임신, 수유, 연령(소인은 임상연구가 없습니다.), 노인, 다른약물사용, 다른 질병 보유 등

암환자들을 가장 두렵고 고통스럽게 하는 것은 극심한 통증과 오심, 구토증상일 것입니다. 인간이 느끼는 통증 중 가장 심한 것으로 알려진 신경병증성통증(neuropathic pain)은 장기간 지속되며 강력한 진통제인 모르핀도 잘 듣질 않고, 심한 경우 환자가 자살을 시도할 정도입니다. 암환자의 통증은 갑자기 나타날 수도 있고, 규칙적으로 조금씩 계속될 수도 있는데, 통증의 원인 중 약 70%를 차지하는 것은 암 자체가 원인이 되는 통증으로 뼈에 암이 전이되거나, 주변조직의 침범, 신경압박, 내장 장기로의 전이 및 두개강 내의 암 전이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수반되는 화학치료, 방사선치료, 수술, 그리고 암에 관련된 환경 즉 두통이나 관절염, 근육 경련 등에 의해 생기는 것입니다.

이렇듯 암환자의 통증을 일으키는 원인은 다양하지만 통증의 양상은 암세포의 진행부위, 또는 변성된 조직의 부위에 따라 다른 양상의 통증을 나타냅니다. 암환자의 통증을 분류하는 방법은 신경학적 분류와 원인에 의한 분류를 주로 사용합니다.

신경학적분류
신경학적 분류는 신경의 이상으로 인한 신경병증성통증(neuropathic pain)과, 체성통, 내장통으로 구분되며, 교감신경계 지배영역과 관련이 있는 교감신경관여통증(sympathetically mediated pain)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신경병성 통증(neuropathic pain): 신경손상에 의한 통증으로 화끈거리거나, 저리고, 쑤시는 혹은 욱신거리는 양상.

* 체성통(somatic pain): 피부, 근육, 뼈의 통증으로 찌르는 듯한 박동성 또는 압박감.

* 내장통(visceral pain): 내부 장기의 통증으로 위치가 애매하고 쥐어짜는 듯한 경련성 혹은 체성통과 유사한 양상

원인별 분류

* 암 자체가 원인인 통증: 뼈에 암의 전이, 주변조직의 침범, 신경압박, 내장 장기로의 전이 및 두개강 내의 암 전이 등.

* 암의 진행에 따른 합병증에 의한 통증: 변비, 욕창, 전신쇠약감에 의한 증상 등.

* 암치료가 원인이 되는 통증.

1) 수술 후 통증: 환지통증이 대표적이며, 대개의 경우 일시적 환지통증이나 지속적인 경우는 절단 전의 통증기억에 의한 통증.

2)  항암화학요법 후 통증: 빈크리스틴, 시스플라틴 등의 항암화학요법에 사용되는 약제가 지각이상과 반사작용을 감소시켜 말초신경을 자극을 하여 나타나는 통증.

3)  방사선 치료 후 통증: 말초신경 주변의 모세혈관 변화, 결합조직의 섬유화나 만성염증, 국소적 피부 괴사, 탈수 등에 의한 통증.

암성 통증 중에서 특히 암 종양이 자라 신경을 압박하거나, 주변조직의 침범, 또는 뼈에 침투하고 자리잡은 암세포가 뼈를 분해하거나(또는) 뼈를 만드는 병변을 만들어 신경의 손상을 일으키고, 극심한 뼈의 통증을 일으키지만, 이 경우 마약성 진통제를 사용해도 별 효과가 없습니다. 더구나 마약성진통제의 사용은 암종양의 성장을 촉진시키므로 시간이 경과하면 점점 통증이 더 심해지고, 더 많은 마약성진통제를 쓰게 만드는 악순환을 되풀이 하게 만들지만, THC는 암의 억제와 더불어 통증, 오심, 구토증상의 완화에도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1. Non-psychotropic plant cannabinoids: new therapeutic opportunities from an ancient herb.

2. Phytocannabinoids and endocannabinoids.

3. Naturally occurring and related synthetic cannabinoids and their potential therapeutic applications.

4. Cannabinoids in the treatment of cancer.

5. Modulation of Delta9-tetrahydrocannabinol-induced MCF-7 breast cancer cell growth by cyclooxygenase and aromatase.

6. Cannabinoid action induces autophagy-mediated cell death through stimulation of ER stress in human glioma cells.

7. Enhancing the in vitro cytotoxic activity of Delta9-tetrahydrocannabinol in leukemic cells through a combinatorial approach.

8. Cannabinoid receptor agonists are mitochondrial inhibitors: a unified hypothesis of how cannabinoids modulate mitochondrial function and induce cell death.

9. The multidrug transporter ABCG2 (BCRP) is inhibited by plant-derived cannabinoids.

10. The cannabinoid delta(9)-tetrahydrocannabinol inhibits RAS-MAPK and PI3K-AKT survival signalling and induces BAD-mediated apoptosis in colorectal cancer cells.

11. Cannabinoids mediate analgesia largely via peripheral type 1 cannabinoid receptors in nociceptors.

12. A house divided: ceramide, sphingosine, and sphingosine-1-phosphate in programmed cell death. 

13. Cannabinoid receptors as novel targets for the treatment of melanoma.

14. Recent advances in the immunobiology of ceramide.

15. Cannabinoids induce apoptosis of pancreatic tumor cells via endoplasmic reticulum stress-related genes.

16. The CB2 cannabinoid receptor signals apoptosis via ceramide-dependent activation of the mitochondrial intrinsic pathway.

17. The stress-regulated protein p8 mediates cannabinoid-induced apoptosis of tumor cells.

18. The effects of cannabinoids on P-glycoprotein transport and expression in multidrug resistant cells.

19. Characterization of P-glycoprotein inhibition by major cannabinoids from marijuana.

20. Peripheral cannabinoid receptor, CB2, regulates bone mass.

21. Cannabinoid receptor ligands mediate growth inhibition and cell death in mantle cell lymphoma.

22. Cannabis and tobacco smoke are not equally carcinogenic.

23. p38 MAPK is involved in CB2 receptor-induced apoptosis of human leukaemia cells.

24. Cannabinoids down-regulate PI3K/Akt and Erk signalling pathways and activate proapoptotic function of Bad protein.

25. Cannabinoids inhibit the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pathway in gliomas.

26. Hypothesis: cannabinoid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gliomas?

27. Cannabinoids: potential anticancer agents.

28. Inhibition of tumor angiogenesis by cannabinoids.

29. Inhibition of skin tumor growth and angiogenesis in vivo by activation of cannabinoid receptors.

30. Targeting CB2 cannabinoid receptors as a novel therapy to treat malignant lymphoblastic disease.

ⓒ 저작권(copyright) 법에 의해 본 사이트(http://www.herbalzym.com)에 게시된 글은 보호 받으므로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 저작권문의는 herbalzym@hotmail.com 으로 하시기 바랍니다. 

Comments are closed.